share
스크랩
#오늘의 픽

1F 빛나야 할 청년들의 ‘빚’내는 인생

  • #신용대출
  • #학자금대출
  • #연체율

✅ 취업 후 학자금 대출 못 갚는 청년 비율이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어요.
✅ 최근 빚을 지고 못 갚는 청년층이 늘고 있어요.
✅ 올해 상반기 빚 탕감받은 20대가 5년 새 최대 규모라고 해요.

취업해도 학자금 갚을 돈이 없어요😭

최근 취업 후에도 학자금 대출을 제때 갚지 못하는 청년 비율이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어요. 지난 16일,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취업 후 상환 학자금 의무 상환 대상자’는 모두 29만 1,830명으로, 2018년(18만 4,975명)과 비교해 57.8%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는데요. 하지만 이 중 체납 인원은 4만 4,216명으로 4년 전(1만 7,145명)보다 2.6배 증가했어요. 또한 같은 기간 학자금 체납액도 206억 원에서 552억 원으로 2.7배 수준 증가했는데요. 체납률은 금액 기준 15.5%로, 2012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라고. 

체납자와 체납액이 늘어난 건 졸업 후 일자리를 구하고도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이 많아졌다는 의미로 해석된다는데요. 청년들이 높은 소득이 보장되는 양질의 일자리를 구하기는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어요. 실제로 취업자 수는 늘고 있지만 청년층(15~29세)의 고용률은 7개월째 ↘하락하고 있어요. 지난달 고용률 감소도 모든 연령층 중 유일했다고.

신용대출 빚도 갚아야 하는데…💦

자료 출처 : 금융감독원·홍성국 의원 / 3대 인터넷전문은행·윤덕영 의원 / 서민금융진흥원·김희곤 의원

학자금 대출뿐 아니라 신용대출을 갚지 못하는 청년들이 늘고 있어요. 19개 국내 은행 연령대별 신용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20대 대출자는 69만 명이 넘었고 연체율은 1.4%집계됐는데요. 1년 전보다 2배 급등한 수치로 5년 중 최고치를 기록한 거라고 해요. 30대도 0.6%로 1년 새 2배 상승했어요. 

심지어 소액대출금조차 못 갚는 청년들도 많은데요. 인터넷은행에서는 서울보증보험의 보증을 담보로 소득과 직업이 없어도 대출한도 50만~300만 원까지 빌려주는 소액대출 상품 ‘비상금대출’을 운영하고 있는데, 지난달 말 기준 비상금대출 연체액이 200억 원을 돌파했어요. 그런데 이 중 20대(19세 포함)와 30대의 연체액이 140억 원으로 전체의 약 70%차지했어요. 

또한, 정책 대출상품인 ‘근로자햇살론’으로도 2030세대가 몰렸는데요. 근로자햇살론의 지난해 대출 잔액 3조 8,285억 원 중 2030세대의 비중이 전체의 54.1%나타났어요. 2명 중 1명은 청년층이란 의미! 근로자햇살론은 금융 취약계층인 저소득·저신용 근로자에게 최대 2,000만 원까지 빌려주는 서민금융진흥원 보증부대출이에요. 저소득 청년층을 위한 대출상품 ‘햇살론 유스’가 별도로 존재하는데도 근로자햇살론에 2030세대가 몰린 건데요. 그만큼 청년층의 빚 문제가 심각하다는 거예요.

결국 빚 탕감받아요💸

올해 상반기 이자를 못 내서 빚을 탕감받은 20대(19세 포함)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어요.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최승재 의원이 신용회복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개인워크아웃을 통해 원금 감면이 확정된 20대 이하는 4,654명으로 2018년 이후 가장 많았어요. 개인워크아웃은 빚을 감당하지 못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신용회복위원회의 중재를 통해 빚을 최대 90%까지 줄여주고 이자 부담도 낮춰 빚을 갚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인데요. 올해 상반기 원금 감면 확정자 수가 2018년 이후 최대치를 경신한 건 20대 이하가 유일하다고. 원금 감면된 채무액 규모도 증가했는데요. 20대 이하 1인당 평균 감면액은 2018년 상반기 기준 530만 원에서 올해 상반기 880만 원으로, 67% 증가해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어요. 

고금리, 고물가 등 계속되는 불황에 청년층의 부채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듯한데요. 청년들의 경제력 악화는 우리 경제 성장 동력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큰 만큼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이네요.

2F ‘여기 어디야?’ 지하철 미어캣 이젠 👋

  • #지하철
  • #지하철역이름
  • #선로유실물

✅ 서울시가 지하철 역이름을 눈에 잘 띄게 개선했다고 밝혔어요.  
✅ 불필요한 안내 문구 대신 역이름 표출 시간을 늘렸다고 해요.
✅ 올해 서울 지하철 선로에 떨어뜨린 유실물 1위는 휴대전화였어요.

(두리번두리번) 여기 어디지?👀

그런지 사원처럼 지하철에서 졸다가 깨서 무슨 역인지 한참을 두리번거렸던 적 다들 있으시죠? 🚊지하철 도착역 정보는 열차 내 행선안내기* 또는 도착역 내 역명 표지판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요. 행선안내기에는 진행 방향, 역 인근 정보 등 부가 정보 위주로 안내하고 있어서 역명을 한번 놓치면 다시 확인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어요. 또 스크린도어에도 도착 역명을 표기한 스티커가 붙어 있긴 했지만, 글씨가 작고 사각지대에 있어 도착역을 확인하는 게 쉽지 않았는데요. 실제로 서울교통공사 민원 접수창구인 ‘서울의소리’에는 도착역 정보를 알기 쉽게 해달라는 민원이 2022년 한 해에만 819건이 접수됐다고. 

* 행선안내기 : 열차의 중간 또는 출입문 상단에 설치돼 도착역·환승역 정보 등을 알려주는 장치

이에 서울시는 올해 4월부터 지하철 이용객이 역명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스크린도어에 역이름을 붙이는 등 개선 작업을 시작했고, 지난 17일 작업이 완료됐다고 밝혔어요.

이제 도착역 쉽게 확인하세요

우선 열차 내 이용객이 역이름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스크린도어에 부착한 역명 표지 디자인을 개선하고 글씨 크기를 대폭 🔎확대했는데요. 배경은 밝은 색으로 디자인하고 승객의 눈높이에 맞추어 부착 위치를 조정했어요. 스크린도어의 가동문과 고정문에도 각각 소·대형 역명 표지를 부착해 열차 내 모든 곳에서 도착역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고. 또 외국인 승객을 위해 역명 표지에 역 번호도 추가했는데요. 1~8호선 전 역사는 이미 새로운 역명 표지를 적용했고, 9호선과 우이신설선은 이달 안에 마무리된다고 해요.

불편 민원이 집중된 2·4호선 행선안내기 화면 내 표시방식도 새롭게 바뀌는데요. 2호선의 경우 국문 역명 표출 ⏳시간이 기존 15초에서 59초로, 4호선은 52초에서 95초로 늘어났다고. 2호선은 ‘이번 역은’, ‘○○행으로 가실 고객께서는’과 같은 불필요한 정보와 긴 환승역 안내 문구를 간소화하고 그 자리에 도착 역명이 표시되도록 했고요. 4호선은 상·하단으로 나뉜 행선안내기 구조를 고려해 도착 역명은 상단에 고정하고 하단에 부가 정보를 표시한다고. 현재 운영 중인 전동차의 행선안내기 개선은 내년 2분기까지 완료할 계획이라고 해요.

지하철 선로에 휴대전화를 빠뜨리면?😱

한편, 서울교통공사는 올해 1~8월에 접수한 선로 유실물이 총 1,276건이라고 밝혔는데요. 이중 휴대전화가 547건으로 가장 많았고 블루투스 이어폰 등 전자기기가 203건, 지갑이 132건 등이었다고. 서울교통공사는 승객들이 열차와 승강장 사이 틈을 인지하지 못하고 승·하차 도중 휴대전화와 이어폰을 빠뜨리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는데요. 실제로 올해 8월까지 접수된 선로 유실물은 작년 같은 기간 대비 약 14% 증가했는데, 월평균 선로 유실물 접수 건수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라고 해요. 

만약 선로에 물건이 빠졌다면, 당황하지 말고 물건을 떨어뜨린 승강장 위치를 기억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물건의 종류와 승강장 위치를 함께 고객안전실로 신고하면 역 직원이 영업 종료 후 수거해 다음 날부터 인계받을 수 있다고. 자세한 내용은 카드뉴스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지난 레터에서 40년 만에 지하철 노선도가 개선된다고 소개해 드렸었죠. 그리고 오늘 소개한 내용까지~ 앞으로 지하철 이용이 더 편리해질 것 같네요! (알지 과장 : 갑자기 글씨가 잘 보이길래 눈이 좋아진 줄 알았더니 글씨가 커진 거였구나🤣)

3F 요즘 라면 특) 눈물 콧물 찔찔

  • #라면
  • #맵부심
  • #매운라면

✅ 최근 라면 업계에 매운 라면 출시 바람이 불고 있어요.
✅ 불황일수록 사람들이 매운 라면을 더 찾기 때문이래요.
✅ 실제로 매운 음식을 먹으면 스트레스가 풀린대요!

누가 누가 더 맵나? 불붙은 매운 라면 경쟁

사원님, 얼마 전 한국 🍜인스턴트 라면이 환갑을 맞이했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1963년 9월 15일, 처음 등장한 이후 무려 60년이라는 시간이 흐른 건데요. 사실 그동안 우리 입맛에 맞춰 라면에도 수많은 트렌드가 있었죠. 그렇다면 최근에는 어떤 라면이 주목받고 있을까요? 아마도 이 라면은 절대 빠질 수 없을 것 같아요. 바로, 우리의 눈물과 콧물을 쏙 빼놓는 🌶️매운 라면!

출처 : 농심, 오뚜기, 삼양식품
출처 : 농심, 오뚜기, 삼양식품

최근 라면 회사들이 극한의 매운맛을 보여주는 신제품을 속속 출시하고 있어요. 대표적으로 농심은 지난달 14일, 기존 신라면의 스코빌 지수*를 2배 높인 ‘신라면 더 레드’를 한정판으로 출시했는데요. 어찌나 인기가 많은지 품귀 현상까지 일어날 정도! 실제로 출시 18일 만에 42억 원의 매출을 달성한 것으로 알려졌죠. 또 오뚜기는 같은 달 16일, 사람들이 라면의 매운맛을 더 느끼고 싶을 때 마늘과 후추를 넣는다는 점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기존 열라면에 🧄마늘과 후추를 더한 ‘마열라면’을 선보였고요. 삼양식품은 다음 날인 17일, 매운맛을 화끈함, 칼칼함, 깔끔함, 알싸함, 은은함 등 5가지로 세분화해 조합한 라면 브랜드인 ‘맵탱’을 론칭했어요.

* 스코빌 지수 : 매운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지수. 스코빌 지수가 높을수록 매운맛이 강하다.

‘지금’ 매운 라면이 연이어 나오는 이유

혹시 불황일수록 매운맛이 잘 나간다는 말, 들어보셨어요? 이는 우리가 흔히 매운 음식을 먹으면 스트레스가 풀린다고 생각하기 때문인데요. 다시 말해 요즘같이 경기가 힘든 상황에서 가격도 저렴한 매운 라면을 먹으면서 스트레스를 풀려는 사람들이 많아졌다는 것! 또 관련 업계에서는 전 세계에서 유행 중인 매운 음식 챌린지와 마라탕, 마라샹궈 등 사천식 매운맛에 익숙해지면서 사람들의 입맛이 점점 더 자극적으로 변했다는 점을 이유로 꼽았는데요.😋 심지어 더 매운맛을 찾아다닌다는 의미로 ‘맵다’와 ‘인플레이션’의 합성어인 ‘맵플레이션’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을 정도라고! 게다가 여기에 매운맛 열풍이 남녀노소를 막론한다는 점도 한몫했는데요. 실제로 세븐일레븐이 지난 상반기 대표 매운 라면 10여 종의 매출을 분석했더니, 매운 라면을 구매한 여성은 49%, 남성은 51%로 큰 차이가 없었고요. 연령대도 20대가 30%, 30~40대가 35%, 50대 이상이 32%로 다양하게 나타났어요.

잠깐! 매운 음식을 먹으면 진짜 스트레스가 풀릴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네! 스트레스가 풀려요!🙆 혀로 느낄 수 있는 맛은 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까지 이렇게 총 5가지인데요. 여기에 왜 매운맛이 없는지 눈치채셨나요? 사실 매운맛은 ‘맛’이 아닌 ‘뜨거움에서 비롯된 통증’이에요. 매운맛을 내는 캡사이신이 👅혀에 닿으면 뇌는 이를 뜨거운 물질로 착각하고요. 이때 우리 몸이 통증을 물리치기 위해 엔도르핀을 분비하면서 스트레스가 어느 정도 풀리게 되는 거래요. 그렇다면 왜 사람마다 느끼는 매운맛의 정도가 다를까요? 이는 우리 혀에 있는 ‘TRPV1’라고 불리는 수용체의 개수 차이 때문이에요. 해당 수용체는 우리 몸의 온도 센서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요. 즉, 매운 음식을 잘 먹는 사람은 이 수용체가 적어서 뜨거움에서 비롯된 통증, 즉 매운맛을 덜 느끼는 거고요. 반대로 잘 먹지 못하는 사람은 수용체가 남들보다 많아 더 잘 느껴지는 거예요.

얼마 전, 미국에서 10대 소년이 세상에서 가장 매운 과자인 ‘원칩’을 먹는 챌린지를 하다가 사망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어요. 결국, 해당 과자의 제조 업체가 판매를 중단했는데요. 물론 챌린지라는 특수한 상황이었지만, 실제로 매운 음식을 너~무 자주 먹으면 위 건강을 해칠 수도 있대요. 그러니까 사원님들! 우리 매운 음식은 무리해서 먹지 않기로 약속해요!😉 (그런지 사원 : (내가 느끼기에) 맛있게 매운맛으로 먹기!)

4F 📺 참치vs치즈 당신의 선택은?

  • #돈슐랭
  • #김밥
  • #gimbab

들어가는 속 재료에 따라 다양한 맛을 낼 수 있는 김밥! 최근 미국에서도 김밥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하죠.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김밥을 먹기 시작했을까요? 김밥의 주재료인 김을 먹었다는 기록은 신라 때부터 등장했고, 조선 말기에 쓰인 것으로 추정되는 요리서 〈시의전서〉에도 ⬛김을 구워 밥을 싸 먹는 ‘김쌈’이라는 음식을 소개하고 있는데요. 김밥이 지금처럼 다양해지기 시작한 건 1980년대부터라고 해요. 그런지 사원은 참치와 마요네즈를 듬뿍 넣은 참치김밥이 제일 좋다고 하던데, 사원님의 최애 김밥은 뭐예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