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re
스크랩
#오늘의 픽

1F [전격발표] 티빙·웨이브 우리 만나요♥

  • #OTT
  • #티빙
  • #웨이브

✅ 티빙과 웨이브가 합병 초읽기에 돌입했어요.
✅ 월 이용자 수 933만 명의 초대형 OTT로 재탄생하게 된다고!
✅ 다만, 공정위의 기업결합 심사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아요.

티빙·웨이브 손잡았다🤝

사원님! 지금 당장 구독 중인 서비스가 몇 개인지 확인해 보세요. (그런지 사원 : 음악, OTT, 책, 편의점… 이게 다 몇 개야?😱) 사실 OTT만 해도 보고 싶은 작품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어서 최소 2개 이상 구독 중인 분들이 많을 텐데요. 끝없이 오르는 물가 때문에 구독 서비스를 줄여볼까 싶다가도 막상 끊으려고 하니 아쉬웠던 분들에게 한 줄기 빛 같은 소식을 가져왔어요. 바로, ‘티빙’과 ‘웨이브’가 합병 초읽기에 돌입했다는 것! 콘텐츠 업계에 따르면 OTT 서비스 티빙과 웨이브의 대주주인 CJ ENM, SK스퀘어가 합병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예정인데요. 두 OTT가 결합하면 CJ ENM이 최대 주주에 오르고 SK스퀘어는 2대 주주가 되는 구조로 MOU는 빠르면 이번 주, 늦어도 다음 주 안으로 체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넷플릭스 긴장해, 국내 최대 OTT 탄생

우리나라에서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가 가장 많은 OTT는 많은 분들이 예상하신 대로 넷플릭스인데요. 그럼 2위는 어디일까요? 티빙을 예상했겠지만, 정답은 쿠팡플레이예요. 올해 8월 쿠팡플레이가 티빙의 MAU를 넘어섰기 때문! 쿠팡플레이는 쿠팡이 월 구독료 4,900원을 지불한 멤버십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하면서 빠르게 성장해 왔는데요. 그 결과, 오랫동안 티빙이 지켜온 국내 OTT 1위 자리를 빼앗았어요. 지난 10월 기준으로 MAU 1위는 1,137만 명의 넷플릭스가 차지했고, 이어서 쿠팡플레이(527만 명), 티빙(510만 명), 웨이브(423만 명) 순이었는데요. 이번에 티빙과 웨이브가 합병하게🤝 되면 단숨에 MAU 933만 명에 달하는 초대형 OTT로 재탄생하게 된다고!

여기서 의문! 두 OTT가 합치겠다는 결정을 내린 이유는 뭘까요? 업계에서는 갈수록 커지는 적자📉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어요. 티빙의 손실 규모는 2020년 61억 원에서 지난해 1,192억 원으로 대폭 늘었고, 올해 3분기에도 1,177억 원에 달하는 손실을 기록했는데요. 이건 웨이브도 마찬가지! 지난해 1,216억 원의 손실을 보면서 2021년보다 손실이 2배 이상 커졌는데요. 결국 늘어나는 적자 규모에 대한 우려와 콘텐츠 경쟁력 강화를 위해 힘을 합쳐야 한다는 의견이 모아지면서 합병이 급물살을 타게 된 것으로 보인다고! 

그래서 언제 합쳐요?🤔

사원님이 가장 궁금한 정보는 사실 이거죠. 그래서 언제 합치는 걸까? 아쉽게도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은 상황이에요. 우선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 심사를 넘어야 하고요. 공정거래법상 지주사는 비상장 자회사·손자회사의 지분을 40% 이상 보유해야 하기 때문에, CJ ENM이 합병 법인 지분율을 40% 이상 유지하려면 지분을 추가로 매수해야 해요. 여기에 수천억 원의 💰비용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고. 또 자금난을 해소하기 위해 웨이브가 2019년 발행한 5년 만기 2,000억 원 규모의 전환사채도 합병 법인이 떠안아야 하는데요. 그간 합병설이 꾸준히 제기됐지만 성사되지 못한 이유가 바로 이 문제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어요.

두 OTT의 합병 소식이 전해지자 긍정적인 반응이 이어졌는데요. CJ ENM 측은 “다양한 관점에서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어요. 이번 합병으로 단순히 양쪽으로 들어가는 구독료가 줄어드는 것을 넘어, 더 알찬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고 국내 콘텐츠가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되면 좋겠네요!👏

2F 내 나이 ○○세, 적자? 흑자?

  • #인생흑자
  • #청년빈곤
  • #생애주기수지

✅통계청이 1인당 생애주기별 적자와 흑자를 발표했어요.
✅인생에서 첫 흑자 시기는 27세, 최대 흑자 시기는 43세라고 해요.
✅일하는 고령층의 증가로 적자 재진입 나이가 늦춰지고 있어요.

인생 최고 흑자 시기 ‘43세’

사원님들은 살면서 내가 언제 💸돈을 가장 많이 벌고, 언제 돈을 가장 많이 쓰게 되는지 궁금하지 않나요? (그런지 사원 : 전 지금부터 많이 벌고 싶어요) 바로 그 시기를 분석한 결과가 있어요.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1년 국민이전계정인데요. 국민이전계정은 연령 간 경제적 자원이 어떻게 배분됐는지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는 지표예요. 소비와 노동소득을 기준으로 개인의 생애 중 적자와 흑자 시기가 언제인지 살펴보는 거라고! 

생애주기
자료:통계청 (흑자: 소비〈 노동소득, 적자: 소비 〉노동소득)

우리나라 사람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소비를 시작해 🎒고등학생인 17세에 평균 3,575만 원으로 최대 소비를 기록한다고 해요. 고등학생 시절 교육비로 평균 1,151만 원을 지출하는 등 교육비 소비가 많기 때문이에요. 최저점을 찍은 이후 소득이 점점 늘어나다가 27세에 소득이 소비를 넘어서면서 생애 첫 흑자 시기가 온다고! 그럼 우리 인생에서 최대로 흑자를 내는 때는 언제일까요? 바로 43세! 평균 3,906만 원으로 노동소득이 가장 많아 흑자폭이 가장 크다고 해요. 씁쓸한 점은 인생에서 흑자를 내는 기간이 단 34년뿐이라는 점이에요. 최대 흑자를 낸 43세 이후부터 소득이 하락하다가 61세부터는 다시 소비가 소득을 역전해 적자로 재진입한다고. 

파이어족? 환갑까지 🔥열일!

과거 생애주기와 비교해 보면 첫 흑자 발생 나이는 27~28세로 일정한 편이에요. 하지만 적자 재진입 나이는 매년 늦춰지고 있는데요. 2014~2015년에 58세였다가 2016~2018년에 59세, 2019년 60세를 기록한 이후 2020년부터 2년 연속 61세로 나타나고 있어요. 

적자 나이가 늦어지면 좋은 것이란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아요. 적자 재진입 나이가 늦춰지는 건 ‘💼일하는 고령층’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과거엔 은퇴해서 소득이 없었을 나이인데 지금은 일을 계속하면서 소득이 끊기지 않으니까 적자 진입 시기가 지연되는 것이라고 하는데요. 실제로 국내 60세 이상 취업자는 2013년 9월 347만 1천 명에서 올해 9월 647만 7천 명으로 10년 만에 무려 300만 6천 명이나 증가했어요.

소득 늘어난다더니 왜⛔

그럼 청년층(19~39세)의 재무 상황은 어떨까요? 소득이 늘어난다는 분석처럼 점점 좋아지고 있을까요? 보건복지부가 28일 발표한 ‘1인 가구 사회보장 수급 실태 분석’을 보면 2020년 기준 1인 가구의 빈곤율은 47.8%인데 그중에서도 청년 1인 가구의 빈곤율이 평균 36.9%라고 해요. 전체 가구의 빈곤율인 평균 30%보다 높은 수치! 특히 1인 청년 가구의 생계급여 수급액이 61만 6천 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기도 했어요. 청년들의 녹록지 않은 경제 상황은 다른 보건복지부 통계에서도 알 수 있는데요. 2017년 전체 수급자(0~5세 영유아기 수급자 제외) 중 가장 낮았던 청년(20~39세) 수급자 비율이 2022년엔 세 번째로 높은 11.0%를 기록했다고 해요. 지난 레터에서도 소개했듯이 신용대출을 갚지 못하는 청년도 1년 전보다 2배나 급증했고, 한국은행의 보고서에서도 2030 청년층의 부실대출 문제를 지적할 정도였다고.

사원님은 지금 흑자와 적자 시기 중 어느 지점을 지나고 있나요? 사람마다 삶이 다르듯 흑자와 적자의 시기도 모두 다르겠지만, 1인당 생애주기수지는 많은 사람들을 조사해 평균을 낸 수치인만큼 잘 참고해서 다가올 적자 시기를 미리 대비하면 좋을 것 같아요! 

3F 팥붕 vs 슈붕 대결은 이제 하수!

  • #붕어빵
  • #팥붕슈붕
  • #붕마카세

✅ 매년 겨울, 팥 붕어빵과 슈크림 붕어빵의 경쟁이 시작돼요.
✅ 소금빵 붕어빵과 같은 이색 붕어빵, 붕마카세까지 생겼대요.
✅ 붕어빵을 따뜻한 실내에서 다양하게 즐기고자 하는 욕구가 늘었어요.

사원님은 팥붕파 vs 슈붕파?

드디어 찾아온 붕어빵 먹기 참 좋은 ☃️계절! 그런데 매년 이맘때쯤 시작되는 논쟁거리가 하나 있죠. 바로, 팥 붕어빵이냐! 슈크림 붕어빵이냐! 인터넷 커뮤니티를 보면요. 팥붕파는 ‘팥붕이 없었으면 슈붕도 태어나지 못했다’, ‘슈붕은 붕어가 되고 싶은 델리만쥬일 뿐이다’, 슈붕파는 ‘팥은 슈크림보다 호불호가 강해 근본이 될 수 없다’, ‘슈가슈가룬은 있어도 팥가팥가룬은 없다(?)’라고 주장하는데요. 거의 탕수육 부먹 vs 찍먹만큼이나 치열한 이 싸움! 그래서 정리했어요! 승자를 예측할 수 있는 데이터를 공개할게요!

가장 먼저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썸트렌드에 따르면, 최근 한 달간 소셜미디어에서 ‘팥붕’의 언급량은 총 2,304건, ‘슈붕’의 언급량은 총 3,030건으로 나타났고요. 배달의 민족에서는 지난해 10월 가장 많이 주문한 붕어빵 맛으로 슈크림이 뽑혔다고 하는데요. 반면, 지난해 이디야커피가 공식 인스타그램 스토리를 통해 투표한 결과에서는 오히려 팥붕이 앞서기도 했대요. 이렇듯 워낙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결국 팥과 슈크림을 마치 소스처럼 찍어 먹는 빙어빵을 만들자는 아이디어도 나왔다고!🤣 (그런지 사원 : 사원님은 무슨 파인가요? 사실 저는 못 골라요…)

요즘엔 이런 붕어빵이 유행 중👀

붕마카세 ‘떡붕’ / 출처 : 인스타그램 @ddukboong_c3
붕마카세 ‘떡붕’ / 출처 : 인스타그램 @ddukboong_c3

물론 올해는 팥붕 vs 슈붕의 대결만 있었던 건 아니에요. 누텔라 붕어빵, 고구마 붕어빵, 흑미 붕어빵, 민초 붕어빵, 김치 붕어빵, 피자 붕어빵까지 정~말 다양한 이색 붕어빵이 등장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심지어 이제 앙금만 바꾸는 건 하수! 소금빵 붕어빵, 🥐크루아상 붕어빵 등 새로운 버전도 등장해 인기를 끌고 있어요. 혹시 여기에서 한 가지 맛만 고르기 힘든 사원님 손?🙋 세계 최초! 붕마카세도 생겼대요! 가격은 25,000원. 총 6가지 맛의 특별한 붕어빵과 주류 한 잔을 받을 수 있는데요. 특히 감자 치즈 트러플, 불닭, 타코야키 등 메인 붕어빵과 아이스크림, 인절미, 카라멜 등 디저트 붕어빵으로 철저하게 구분된 것도 재밌더라고요. 참고로 메뉴 구성은 매달 달라지고요. 오마카세인만큼 예약도 필수래요!

어쩌다 이렇게 화려해졌을까?

출처 : 이디야커피, 메가MGC커피, 굽네치킨
출처 : 이디야커피, 메가MGC커피, 굽네치킨

사실상 이제 붕어빵은 길거리 음식이 아니죠. 출생지만 길거리일 뿐, 지금은 사시사철 어느 곳을 가도 만나볼 수 있는 한국 대표 간식이 됐다는 것. 이는 지난 레터에서도 다뤘듯이 붕어빵 원재료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길거리 노점상이 사라졌고요. 그 자리를 ☕카페가 대신하면서 이색 붕어빵 경쟁이 시작됐기 때문이에요. 또 해가 갈수록 붕어빵 가격이 점점 더 오르고 있는데요. 실제로 작년에는 2마리에 1,000원이었다면, 올해는 1마리에 1,000원인 곳도 많아졌어요.💸 심지어 설탕값이 올랐다며 슈크림 붕어빵을 안 파는 곳도 있고요. 이렇듯 어차피 비싸진 붕어빵! 깨끗하고 따뜻한 실내에서 다양한 맛의 붕어빵을 즐겨보자며 카페를 선택하는 사람들도 많아졌다는 거죠.

팥붕과 슈붕, 뭐가 중요한가요? 사원님이 좋아하는 맛이 곧 근본이거늘! 올겨울 꽤 춥다고 하는데, 김이 모락모락 나는 붕어빵 먹으면서 따뜻하게 보내시길 바라요! (그런지 사원 : 아무래도 오늘 퇴근하고 붕어빵 먹어야겠다!🤤)

4F 📺 2023년 세계 경제는 어땠을까?

  • #월드클로즈업
  • #고금리
  • #세계경제

오늘이 12월 1일이니까 2023년도 이제 딱 한 달 남았네요! 올해는 지난해에 이어 고환율, 고금리, 고물가 이른바 3高(고) 현상이 장기화하면서 세계 각지에서 암울한 전망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더 걱정인 건 지난 10월 국제통화기금(IMF)이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을 2.9%로 전망하면서 내년 경제 상황도 그리 밝아 보이지 않다는 거예요.😥 그래서 준비한 시간! 2023년 세계 경제와 국내 경제는 어땠는지 〈월드클로즈업〉에서 총정리했는데요. 어려운 경제를 쉽고 빠르게 알고 싶은 분들은 지금 확인해 보세요!

Top